Search
↗️

OSI 7계층

태그
네트워크

OSI 7계층이란

네트워크 통신을 단계별로 계층을 나눈 모델이다.
각 계층은 역할을 부여받아 동작하며, 문제 발생시 현상에 따라 원인 파악이 용이해진다. 이 모델을 통해 각 계층에서의 작업을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게됨
이 레이어는 Stack 계층이라고도 표현을 하며, 데이터 통신을 하는데 있어 PDU를 표준으로 캡슐화 - 디캡슐화 진행한다.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응용
HTTP, FTP
Data
표현
JPEG, ASCII
Data
세션
SSH, TLS
Data
전송
네트워크
데이터링크
물리

응용 계층

HTTP, FTP, Telnet 등의 프로토콜이 이 계층에 포함된다.
브라우저, 메일 시스템 등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프로그램들을 통해 해당 프로토콜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표현 계층

데이터를 어떻게 표현할 것인지를 정하는 계층이다.
데이터의 인코딩, 디코딩, 암호화, 복호화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확장자의 개념이 여기서 사용된다.

세션 계층

응용 시스템 간의 세션을 관리
통신 장치 간의 연결을 설정하고 관리 및 종료하고 통신방식을 결정한다. SSH, TLS 등이 대표적인 프로토콜이다.

전송 계층

하위 계층으로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을 목적으로 하는 계층이다.
시퀀스 넘버 기반으로 단말(엔드포인트)간 전달 데이터의 오류를 제어한다.
시퀀스 넘버 기반이란 번호를 매겨 1번 데이터가 도착하지 않았다면 데이터가 도착하지 않았다고 알려 다시 1번 데이터를 받은 형식이다.
전송 단위는 segment이며, 대표적으로 TCP, UDP 프로토콜이 존재한다.
TCP: 오류 제어를 하므로써 신뢰성 있는 프로토콜이다.
UDP: 데이터 손실이 좀 발생할 수 있지만 빠른 속도의 프로토콜이다.

네트워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은 IP주소를 제공해주는 계층이다.
수신자의 IP주소를 기반으로 라우터가 경로를 제공한다.
경로는 라우터의 알고리즘에 의해 결정된다. 전송단위는 packet이다.

데이터링크 계층

물리적인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
주 목적은 물리적인 장치를 식별하는데 사용하는 맥 주소를 제공하는 것이다. 투 포인트 간의 신뢰성 있는 전송을 보장하고 대표적인 장비로는 브리지와 스위치가 있다.

물리 계층

비트의 통신단위로 통신
이 계층에 속한 대표적인 장비는 케이블, 허브, 리피터 등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