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면접을 위한 CS 전공지식 노트,
프록시 패턴
프록시 패턴은 대상 객체에 접근하기 전 그 접근에 대한 흐름을 가로채 대상 객체 앞단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디자인 패턴
어떤 객체를 사용하고자 할때, 객체를 직접적으로 참조하는 것이 아닌 객체를 대항하는 객체를 통해 대상 객체에 접근하는 방식을 사용하면 해당 객체가 메모리에 존재하지 않아도 기본적인 정보를 참조하거나 설정할 수 있고, 실제 객체의 기능이 필요한 시점까지 객체의 생성을 미룰 수 있음
이를 통해 객체의 속성, 변환 등을 보안하며 보안, 데이터 검증, 캐싱, 로깅에 사용
프록시 서버
프록시 서버는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접속을 할 때 직접적으로 접속하지 않고 중간에 대신 전달해주는 서버를 말함
DDOS 공격 방어
DDOS는 짧은 기간 동안 네트워크에 많은 요청을 보내 네트워크를 마비시켜 웹 사이트의 가용성을 방해하는 사이버 공격 유형
HTTPS 구축
서버에서 HTTPS를 구축할 때 인증서를 기반으로 구축할 수 있음
* 깨알 용어
1. CDN(Content Delivery Network)
각 사용자가 인터넷에 접속하는 곳과 가까운 곳에서 콘텐츠를
캐싱 또는 베포하는 서버 네티워크를 말함
이를 통해 사용자가 웹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다운로드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음
2. 오리진
프로토콜과 호스트 이름, 포트의 조합을 말함
참고로 127.0.0.1이란 루프백 IP로, 본인 PC의 IP를 뜻함.
localhost나 127.0.0.1을 입력하면 DNS를 타지 않고 바로 본인 PC로 연결
Java
복사